본문 바로가기

백엔드 개발자 기록 일람/정보처리기사 준비 기록

인터페이스 구현 - 1 -

▼인터페이스 기능 확인

◈인터페이스  설계서(정의서)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현황을 한눈에 확인하기 위하여, 이기종의 시스템 간 데이터 교환과 처리를   위하여 사용되는 데이터뿐 아니라 업무, 그리고 송-수신 시스템 등의 관련 상세 내용을 기술한 문서이다.

정적, 동적  모형을  통한 설계서,  일반적 형태의 설계서로 구분된다.

 

★클레스 분할 배치

시각적인  다이그램을 이용하여 정적, 동적 모형으로  각 시스템의 구성 요소를  표현한 문서이다.

각 인터페이스가 어느 부분에 속하는지 분석할 수 있다. 교환 트랜잭션 종류를 분석할 수 있다.

 

★적절한 주석

개별 인터페이스의 상세 데이터 명세, 시스템 인터페이스   목록, 각 기능의 세부 인터페이스  정보를 정의한 문서이다.

시스템 인터페이스 설계서 : 시스템 인터페이스 목록을 만들고 각 인터페이스 목록에 대한 상세  데이터 명세를 정의하는 것이다.

상세 기능별  인터페이스 명세서: 각 기능의 세부 인터페이스 정보를 정의한 문서이다.

 

◈내/외부 모듈 간 공통기능, 데이터 인터페이스확인 순서.

인터페이스 설계서의 외부 및 내부 모듈의 기능을 확인한다.

인터페이스 설계서의 외부 및 내부 모듈을 기반으로  공통적으로 제공되는 기능과 각 데이터의 인터페이스를 확인하다.

 

▼모듈 연계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목적으로 내부 모듈-외부 모듈 또는  내부 모듈- 내부 모듈 간 인터페이스를 위한 관계를 설정하는 것으로 EAI와 ESB방식이 있다.

 

◈EAI(Enterprise Application Integeration)

기업 내부에서 운영되는 각종 플랫폼 및 애플리케이션 간의 정보 전달, 연계, 통합을 가능하게 해 주는 솔루션이다.

각 비즈니스  간 통합 및 연계성을 증대시켜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각 시스템 간의 확정성을 높여 줄 수 있다.

 

★EAI 유형

출처:: https://velog.io/@do_ng_iill/EAIEnterprise-Application-Integration-정리

 

ESB(Enterprise Service Bus)

애플리케이션 간의 데이터 변환 및 연계 지원 등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 솔루연이다.

애플리케이션  간의 통합 관점으로 EAI와 유사하다고 볼 수 있으나 애플리케이션 보다는 서비스 중심으로 통합을 지향하는 아키텍처 또는 기술을 의미한다. 범용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애플리케이션과의  결합도를 약하게 유지 해야 한다.

웹 서비스 중심으로  표준화된 데이터, 버스를 통해 이 기종 애플리케이션을 유연하게  통합하는 핵심 플랫폼이며 관리가 쉽고 보안이  좋아 높은 수준의  품질 지원이 가능하다.

 

출처:: ESB (Enterprise Service Bus) - Loud Bench

 

★데이터 표준 확인

내/외부 모듈 간 데이터를 교환시 데이터 표준을  정의하고 이를 관리.

기존 데이터중 공통 영역을 추출하여 정의하는 경우와 인터페이스를 위해 다른  한쪽의 데이터 형식을 변환하는 경우가 있다.

제이슨,DB,YAML,애잭스 등 다양한 표준으로 인터페이스 모듈을 표현할 수 있다.

절차: 인터페이스  기능을 통해 인터페이스 데이터 표준을 확인-> 인터페이스  데이터 항목을 식별 -> 데이터 표준을 최종확인.

'백엔드 개발자 기록 일람 > 정보처리기사 준비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터페이스 구현 -2-  (0) 2024.07.09
소스 코드 최적화  (0) 2024.05.22
애플리케이션 성능 개선  (0) 2024.05.16
결함 관리  (0) 2024.05.15
통합 테스트  (0) 2024.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