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레이 2024. 2. 5. 17:16

▼ 구조적 분석

자료의 흐름, 처리를 중심으로 한 요구분석 방법이며 전체 시스템의 일관성 있는 이해를 돕는 분석도구로 모형화에 필요한 도구 제공 및 시스템을 나누어 분석할 수 있다. 정형화된 분석 절차에 따라 사용자 요구사항을  파악, 문서화 하는 체계적인   분석 방법으로 자료 흐름도, 자료 사전, 소단위 명세를 사용한다. 시스템 분할이 가능하며 하향식 분석 기법을 사용하고 분석자와 사용자 간의 의사소통을 돕느다.

 

츨처 https://hyunsitstory.tistory.com/32

 

▼구조적 설계의 특징과 기본 구조

특징 : 하향식 기법, 신뢰성 향상, 유연성 제공, 재사용 용이.

기본구조 : 순차구조, 선택구조 = 조건구조, 반복구조

 

▼구조적 분석 도구

자료 흐름도

출처: https://choijiuen.tistory.com/34

DFD의 효소는 화살표, 원, 사각형, 직성으로 표시하고 구조적 기법에 이용된다.

출처  : https://choijiuen.tistory.com/34 자료흐름도 예시

 

시스템 내의 모든 자료 흐름을 4가지의 기본 기호로  기술하고 이런 자료 흐름을 중심으로  한 분석용 도구이다.

시스템이나 프로그램 간의 퐁체적인 데이터 프름을 표시할 수 있으며,  기본적인 데이터 요소와 그들 사이의  데이터 흐름 형태로 기술된다. 자료 흐름 그래프 또는 버블 차트라고도 불리며, 그림 중심이 표현이고 하향식 분할 원리를 사용한다.

갱신하기 쉬워야  하며 이름의 중복을 제거해 정의하는 방식을 명확히 하여 쉽게 정의를 찾을 수 있도록 해야한다.

 

자료흐름도 작성의 7가지 원칙
자료 보존의 원칙(Conservation Rule)
출력 자료 흐름은 반드시 입력 자료 흐름을 이용해 생성되어야 한다.

최소 자료 입력의 원칙(Parsimony Rule)
출력 자료를 산출하는데 필요한 최소의 자료 흐름만 입력한다.

독립성의 원칙(Independence Rule)
프로세스는 오직 자신의 입력 자료와 출력 자료 자체에 대해서만 알면 된다.

지속성의 원칙(Persistence Rule)
프로세스는 항상 수행하고 있어야 한다.

순차 처리의 원칙(Ordering Rule)
입력 자료흐름의 순서는 출력되는 자료흐름에서도 지켜야 한다.

영구성의 원칙(Permanence Rule)
자료저장소의 자료는 입력으로 사용해도 제거되지 않는다.

독립성의 원칙
'한영번역' 프로세스는 오로지 입력 자료 '한글단어'와 출력 자료'영어단어'만을 인식하고 있다. 이들 자료가 어디에서 와서 어디로 가는지는 신경쓰지 않는다.

지속성의 원칙
'한영번역' 프로세스는 '한글단어'자료가 입력되면 내용에 맞게 '영어단어'를 출력하는 처리를 하며 그 외에는 '한글단어'가 입력되기를 기다리고 있다.

순차 처리의 원칙
자료가 '책', '사전', '연필' 이렇게 복수로 입력되면 출력도 'book', 'dictionary', 'pencil'이렇게 순차적으로 처리된다.

영구성의 원칙
자료저장소인 '한영사전'의 자료들은 프로세스에서 몇번이고 접근하여 처리에 사용되어도 불변인 채로 남아있는다.

자료 변환의 원칙(Nature of Change)
자료 본질의 변환(Change of Nature)
일반적으로 입력 자료흐름에 편집, 계산 등을 해 출력 자료흐름을 산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자료 합성의 변환(Change of Composition)
단순히 하나의 입력자료를 여러 가지 구성요소로 분리해 2개 이상의 출력을 산출한다. 반대로 2개 이상의 입력 자료흐름에 대해 자료합성의 변환이 발생할 수도 있다.

자료 관점의 변환(Change of Viewpoint)
입력자료에 대해 실제적인 변경을 하지않고 동일하게 출력자료흐름으로 나타내며 프로세스에서 거부한 자료만 버리거나 이전 프로세스로 되돌리게 된다. 따라서 출력자료나 반환되는(혹은 버려지는) 자료에 대해서 자료사전에 새롭게 정의할 필요가 없다.

자료 구성의 변환(Change of Organization)
출력자료가 입력자료와 동일하지만, 자료의 구성형태가 변환되게 된다. 구성의 변환은 포멧팅(Formatting) 또는 정렬(Sort) 등을 위한 처리를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처리형태의 출력은 다른 자료흐름으로 생각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자료흐름도 작성시 절대적으로 유의할 점
Black Hole : 프로세스에 입력자료만 있고 출력자료가 없어서는 안 된다.
Miracle : 프로세스에 출력자료만 있고 입력자료가 없어서는 안 된다.
개체(단말) 간의 자료흐름은 안 된다.
자료저장소 간의 자료흐름은 안 된다.
입력자료흐름은 반드시 변환 후 출력흐름을 전제로 한다.

 

▼소단위 명세서

세분화된 자료 흐름도에서 최하위 단계 프로세스의 처리 절차를 설명한 것으로 프로세스 명세서라고도 한다. 분석가의 문서이며 자료흐름도를 지원하기위해 작성한다. 그 구성은 서술문장, 구조적 언어, 의사결정나무, 의사결정표(판단표), 그래프등으로 구성된다.

 

▼구조적 언어, 의사 결정 나무, 의사결정표

구조적 언어 : 자연이 일부분으로 한정된 단어와 문형, 제한된 구조를 사용하여 명세서를 작성하는데 이용하는 명세언어이다.

의사결정나무: 현재 상황과 목표와의 상호 관련성을  나무의 가지를 이용해 표현한 것으로 불확실한 상황에서의 의사결정을 위한 분석 방법이다.

의사결졍표: 복잡한 의사결정 논리를 기술하는데 사용하며, 주로 자료 처리 분야에서 이용된다.

기호 의미 설명
= 자료의 정의 ~로 구성되어있다.
+ 자료의 연결 그리고
( ) 자료의 생략 생략 가능한 자료
[ | ] 자료의 선택 다중 택일 or 또는
{ } 자료의 반복 n의 위치에 따라 아래일시 최소 반복, 위일시 최대반복. 아래위 일시 밑 이상 위 이하
* * 자료의 설명 주석

 

▼자료사전의 역활

자료 흐름도에 기술한  모든 자료의 정의를 기술한 문서이다. 구조적 시스템 방법론에서 자료 흐름도, 소단위 명세서와 더불어 중요한 분석  문서 중 하나이다.

자료 사전 이해도를 높이고자 할 떄 하향식 분할 원칙에 맞추어 구성  요소를 재정의 한다.

 

▼ 자료 사전에서 기술해야할 자료

자료 흐름을 구성하는 자료 항목, 자료 저장소를 구성하는 자료 항목, 자료에 대한 의미, 자료 원소의 단위 및 값 등이 있다.